728x90
반응형

이전 글에서 데이터 모델링 정규화에 대해서

정규화 과정이 왜 중요하고

그것이 원론적으로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정규화가 정말로 성능적으로 문제가 있을까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는데 정규화는 성능적인 문제보다는 본질적인 개체를 구분해야

성능면에서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길 바랍니다

 

 

2022.08.23 - [Data_Modeling/Methodology] - 데이터 모델링 정규화 란? 무엇이며, 정규화 성능 저하 정말 그럴까?

 

데이터 모델링 정규화 란? 무엇이며, 정규화 성능 저하 정말 그럴까?

이전 포스팅에서 정규화 이론이 왜 중요한가? 데이터 이상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정규화 이론은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데이터 구조적인 측면에서 중복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독립 개체로 관리

tantangerine.tistory.com

 

 

데이터 모델링에 철학적 관점이 필요한 이유는?

 

 

먼저 우리는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서 몇 가지 관점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1. 데이터는 업무 프로세스와 무관하며, 프로세스에 종속적이지 않아야 한다.

 

2. 비즈니스적 업무 및 절차가 변경된다고 데이터 모델링이 변경되어서는 안 된다.

 

3. 데이터 모델은 업무의 요건을 함축적으로 정의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3가지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사항이 약간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데이터 모델업무를 표현해야 한다면서,

동시에 업무와 종속성은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것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데이터 모델은 업무를 데이터 관점으로

명확히 표현해야 한다는 것만은 알아야 하겠습니다

 

조금 더 설명하자면

 

이벤트라는 업무 활동을 하는데 이벤트라는 여러 가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지만

데이터 모델링은 변경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벤트라는 원론적인 본질에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현상을

하나의 데이터 모델링으로 만들 수 있게 해야 한다는 말이겠지요

 

어느 프로젝트를 보면 이벤트를 만들 때마다 테이블을 늘려가며

페이지도 계속 추가되는 형태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현상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형은 이벤트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이벤트라는 근본적인 본질이 여러 가지의 이벤트라는 현상을 어떻게 범용적으로 품을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합니다

 

이벤트 페이지의 크기 규격화하고, 버튼위치를 명세화하며, 버튼의 갯수를 정의할 수 있게 하는 등

기능들을 어드민 페이지에서 핸들링 할 수 있다면 

분명 이벤트 페이지도 모델링에 적합한 데이터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전 포스팅에 설명한 설문지에 대해서 모델링이 참고할만한 자료가 되겠지요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상은 복잡하지만 본질은 단순하다"

직접 보이는 세계를 현상이라 하며, 나무 같은 개별 존재의 공통 속성은 본질이라 합니다

추석 이벤트, 출석 이벤트를 현상이라고 본다면 이벤트 자체는 좀 더 원형적인 본질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수많은 현상과 사건은 하나하나가 매우 독특하고 개별적이며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안개처럼 겹쳐 본질을 흐리기 쉽습니다

 

현상에 속지 않고 본질을 들여다보면서 대상을 명확히 하려는 태도와 마음가짐

모델링에서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과감하게 현상을 버리고 본질을 관통하려면 본질을 기반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통찰적 시각을 가져야 합니다.

데이터 모델러는 경험이나 인식의 범위를 초월하여 비즈니스 세계의 본질과 현상을 철저히 분리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통찰력이 요구됩니다

 

이를 근간으로 만들어지는 본질과 현상을 분리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인식론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제 중심적 철학

 

서양 철학의 사유 방식 중인 하나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식 방식인 실제 중심적 철학입니다

아리스톤 텔레스는 사유 체계인 범주론을 보면 실제, 분량, 성질, 관계, 장소 시간, 위치 상태 등으로

구성되는 범주 표가 있습니다

 

이처럼 사유 유형 중에서 본질을 뜻하는 실체로서의 존재는 다른 것과 관련하지 않고

오직 자신과만 관련 있다는 의미로 존재는 독립적이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관계 중심적 철학

 

위와 다른 사유 방식인 관계(사건, 현상)입니다

반 플라톤적 사상가인 질 들뢰즈에 의해 선명하게 나타납니다

 

현실세계의 모든 사건, 행위, 현상은 영토성 코드성으로 이루어집니다

 

야구공, 배트, 글러브, 야구선수, 심판, 관중 등이 일정하게 자리를 차지하는 영토성이며,

 

야구 규칙과 스포츠 관람이라는 일정한 코드가 작동함으로써 코드성 

야구 경기가 성립되어 배치성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즉,

야구 선수인 이승엽은 어느 야구시합에서 만루 홈런을 친 것은 배치성을 나타내며

야구장, 각종 야구용품, 선수 등이 영토성을 가지며

이미 존재하는 야구 규칙이 서로 만나 사건으로 인식되는 것입니다

 

이때 사건과는 무관한 순수하고 본질적인 영역영토성 존재가 모델링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됩니다

 

 

프로젝트 성패를 결정짓는 데이터 모델링 이야기 中 김상래 지음 

 


 

위의 글처럼 우리는 데이터 모델링이라는 관점을 새로운 측면에서 봐야 합니다

지금 일어난 사건과 현상에만 집중하지 말고 본질을 볼 수 있는 눈을 키워야 하며

본질에서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잘 판단해서 모델링을 해야 합니다

 

데이터 모델링은 아무리 공부해도 어려운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실제 사례들로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접목하여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Powered by Tistory, Designed by wall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