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GitHub 사용법

  (git을 사용하는 GUI가 존재한다. 이것을 사용하면 직관적인 트리구조로 SVN 사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다)

1) Start a project 클릭 (GitHub 웹페이지 들어가서 버튼클릭)

 

2) 저장소를 만드는 단계

(필수)Repository name : 저장소의 이름,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 입력

(선택)Description : 선택 입력으로 저장소에 대한 설명(주석)

(필수)Public, Private : 무료 계정인 경우 Public만 사용 가능, 개인 저장소를 원한다면 결제를 해서 Private 사용.

(선택)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

저장소 생성과 함께 README 파일이 설치된다.(README 파일은 코드의 정보가 담겨있다)

(선택)Add .gitignore : 깃 허브로 올리지 않을 파일 선택

(선택)Add a license : 저장소 생성과 함께 라이센스 파일의 설치가 자동 수행된다.

 

필수 사항만 입력 후 Create repository 클릭

 

3) 저장소가 만들어졌다. 이제 빨간 네모 박스가 깃 저장소의 주소가 된다. 해당 주소를 복사해두자.

 

4) 로컬저장소 생성

이 폴더는 깃 저장소의 주소와 연동이 되며 깃 주소는 원격 저장소가 되고 해당 폴더는 로컬 저장소가 된다.

☞ git init [My project name] -- 새로운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기 (cmd창의 현재경로에서 폴더를 생성하게 된다)

 

5) 로컬 저장소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해당 주소는 3)에서 만들어진 저장소의 주소이다)

* 우리가 만든 GitHuB의 웹 주소가

☞ git clone [url]

☞ git clone https://github.com/Szhyun/selfstudy.git

명령어가 실행되면 warning이 뜨는데 해당 에러는 저장소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새로 저장소를 만든 상황이기 때문에 에러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6) 4)에서 만든 폴더로 이동해보면 아래와 같이 우리가 만들었던 저장소의 이름으로 폴더가 생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elfstudy 폴더안에 숨긴파일로 .git폴더가 있다면 성공)

 

9) 이제 깃허브로 어떻게 버전 관리를 하며 반영이 되는지 알아보자.

현재 특정 프로젝트 진행 중인 몇 개의 파일을 추가했다.

cmd창에서 로컬 저장소로 접속한다.

 

10) 로컬 저장소에서 git status 명령어 입력 (git status 명령은 파일의 상태를 확인)

☞ On branch master : branch는 깃 사용의 좀 더 심화된 개념으로 지금은

master라는 브랜치에서 작업중이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한 파일은 아래와 같이 빨간 글씨로 표시된다.

 

12) 로컬 저장소에서 git add * 명령어 입력

위의 파일들을 원격 저장소로 올려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로컬 저장소에서 어떤 파일을 커밋할 것인지 찾는 작업이 우선이다.(Untracked 상태의 파일을 Tracked 상태로 만드는 작업)

 

git add * 명령어는 모든 파일을 커밋한다는 의미이다.

특정 파일만을 커밋하고 싶다면 git add 파일명 을 하면 된다.

13) 다시 로컬 저장소에서 git status 명령어 입력 커밋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파일명이 초록색으로 바뀌었다면 커밋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14) 로컬 저장소에서 git commit 명령어 입력

이제 원격 저장소로 다섯 개의 파일을 커밋시켜보자.

만약 아래와 같이 Please tell me who you are. 이라는 에러가 떨어진다면

 

14-1) 깃을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이름과 이메일 주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를 추가해주면 된다.

아래 명령어 입력

☞ git config user.name "이름 입력"

☞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 입력"

☞ git add *

☞ git commit -m "init"

-m : 커밋시 남길 메시지를 의미한다.

 

15) 커밋 성공시 아래와 같이 files changed가 뜬다.

 

16) 로컬 저장소에서 git push 명령어 입력

마지막으로 커밋한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작업이다.

git push 명령어를 입력하면 GitHub Login 창이 뜨게 되는데 여기에 자신의 GitHub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17) 잠시 기다리면 push 작업이 이루어진다.

 

18) 자신의 깃 저장소에 들어가보면 커밋한 파일이 올라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로컬 저장소의 파일이 올라왔다면 성공!

위 18) 단계까지가 깃 저장소에 파일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이제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서 수정하고 원격 저장소로 올리는 작업을 해보겠다.

 

19) 우선 나는 로컬 저장소의 5개 파일 중 board_list 파일을 일부 수정했다.

 

20) cmd를 실행하고 로컬 저장소로 접속한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

☞ git status

 

변경된 파일이 빨간 글씨로 표시되어 나타난다.

 

21) 로컬 저장소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

☞ git add *

☞ git commit -m "board_list_20181109"

☞ git push

 

22) 원격 저장소, 자신의 깃 저장소로 접속해보자.

아래와 같이 새로 커밋된 board_list_20181109로 코멘트가 달린 파일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파일 목록 위에 2 commits를 클릭해보자.

 

23) 자신이 커밋한 파일의 이력들을 볼 수 있다. 해당 파일 클릭

 

23) 수정된 부분은 아래와 같이 푸른색으로 표시가 되며 해당 라인들의 +버튼을 클릭하면 코멘트를 달 수 있다.

 

여기까지가 로컬 저장소를 이용한 깃의 등록과 수정 사용법이다.

 

 

728x90
반응형

'IT_Web > Project_Set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설치 및 사용방법  (0) 2022.09.06
GitHub 설치방법  (0) 2020.03.09
자바 설치 및 환경 설정 스키마 계정생성  (0) 2020.03.09

+ Recent posts

Powered by Tistory, Designed by wallel